■ 진행 : 김영수 앵커, 엄지민 앵커 <br />■ 화상전화 :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더뉴스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최근 캠핑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텐트 안에서 일산화탄소에 중독돼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인명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특히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철에 텐트에서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가 많아 주의가 필요한데요. <br />응급조치와 예방법 그리고 알아봅니다.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연결돼 있습니다. 교수니 나와계시죠. <br /> <br />[이영주] <br />네,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. 어제 충주에서 일어난 사고 전해 드렸는데 할아버지, 할머니, 손주 이렇게 세 명이 어제 캠핑장 텐트 안에서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추정이 되고 있는 거죠? <br /> <br />[이영주] <br />네, 맞습니다. 실제로 텐트 안에서 밀폐된 곳에서 일어난 것으로 보이는데요. 그 안에 숯불을 피워놓고 잠에 든 상황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실제로 이렇게 텐트 안에서 불을 피우거나 난방을 위해서 뭔가 숯불이라든지 화롯불 같은 것을 피워놨을 때 이로 인해서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고요. 이 일산화탄소가 환기가 되지 않는 이런 환경에 노출됐을 경우에 중독으로 이어져서 사망에 이를 정도로 위험한 상황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 일산화탄소가 옛날에 연탄가스 중독사고 같은 가스인 거죠? <br /> <br />[이영주] <br />맞습니다. 나이가 어느 정도 있으신 분들은 과거에 연탄보일러를 땔 때 심심치 않게 많이 발생을 했었을 텐데요. 최근 들어서는 연탄불을 때는 가정들이 많이 없어졌기 때문에 일산화탄소 중독이라는 것들이 다소 생소할 수는 있습니다. <br />그럼에도 불구하고 집 안에서 화목난로, 직접 연료를 태워서 난방을 하는 난방보일러를 사용한다든지 캠핑하면서 텐트 같은 야외에서 직접 재료를 태워서 난방을 하는 경우에 일산화탄소 중독의 위허성은 분명히 있다고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일산화탄소를 치묵의 살인자라고 부르기도 하던데 이게 인지할 수가 없는 겁니까? <br /> <br />[이영주] <br />기본적으로 일산화탄소 같은 경우에는 무색무취하기 때문에 내가 흡입을 하고 있는지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렵거든요. 그리고 또 처음에는 심한 정도인 경우에는 자각증상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11314302915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